산기협 “국내 R&D기업, AI 활용 아직 절반도 안 돼”

기존 인력 업스킬링·리스킬링 지원 필요

국내 산업 분야의 인공지능(AI) 기술 역량과 활용 수준이 여전히 저조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최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이하 산기협)가 연구개발(R&D) 조직을 보유한 1479개 기업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의 AI 활용 현황 및 실태분석’에 따르면, AI를 업무에 일부라도 활용한다는 응답은 45.6%에 불과했다. 전사 차원에서 적극 활용한다는 비율은 14.1%에 그쳤다.

Advertisement

전체 응답 기업의 76.9%는 업무 수행에 있어 AI 도입이 필요하다고 답했고 서비스업(89.7%)이 제조업(70.7%)보다 AI 도입 필요성을 더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를 활용 중인 기업의 71.7%는 투자수익률(ROI)을 높게 평가했고 업무시간 단축(23.4%), 기존제품 및 서비스 개선(17.9%) 등에 효과를 보고 있다.

반면 AI를 아직 도입하지 않은 기업은 AI 기술 적용을 위한 사전 준비 부족(26.5%), 조직 내 AI 활용 역량 부족(24.2%), AI 도입 비용 부담(21.3%) 등을 그 이유로 꼽았다. 특히 이들 기업의 75.7%는 향후 1년 이내 AI 도입을 위한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신규 AI 전문인력 채용(9.3%)보다 기존 인력의 AI 역량 강화(46.9%)에 대한 요구가 더 컸다. 이를 위해서는 AI 교육 및 훈련비용 지원(32.5%), AI 기술 관련 실습환경 지원(23.3%), 맞춤형 AI 교육 프로그램 제공(19.8%) 등 업스킬링·리스킬링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AI 관련 현행 정부지원제도의 경우 응답기업 대부분(92.2%)이 이용 경험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원 관련해 정보를 찾기 어렵고(27.2%) 필요한 내용과 맞지 않거나 없으며(22.9%) 규모가 부족(22.2%)하다는 이유다. 필요한 정부지원으로는 AI 기술도 입을 위한 자금지원 확대(29.3%), AI 전문인력 양성 및 교육 지원(17.0%), ‘AI 기술 도입 기업을 위한 컨설팅 및 기술지원 강화(16.0%) 등을 꼽았다.

김종훈 산기협 상임이사는 “우리 기업이 AI 역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금, 새 정부가 AI 3대강국(G3)을 목표로 전폭적인 투자 확대 방침을 밝힌 것은 고무적인 일”이라며 “산업계의 AI 활용이 더욱 확산될 수 있도록 기업의 수요를 정부에 적극 건의하는 등 노력을 기울여나가겠다”고 밝혔다.

Add a comment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