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AI, 인터넷 모바일 등장 때와 같은 거대한 파도”

실리콘밸리 ‘네이버 벤처스’ 행사에서 네이버 AI 전략 소개
네이버가 구글과 경쟁에서 살아남았던 것은 UGC의 힘 때문
AI 시대에 경영진에 힘 실어주고 데이터 시너지 확보에 주력할 것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은 인터넷과 모바일의 등장때 처럼 인공지능(AI)을 아주 거대한 파도로 인식하고 있고 그에 맞는 AI 전략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의 의장 복귀는 최수연 네이버 최고경영자(CEO) 등 현 경영진에 대한 전폭적 지원을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의장은 지난 5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팔로알토에서 열린 신설 투자법인 ‘네이버 벤처스’ 네트워킹 행사에서 “미국의 빅테크와 중국의 AI 기업에 맞서 살아남는 게 너무나 어렵다는 것을 지난 25년 동안 체험하고 있다”고 운을 뗐다. 그는 각 국가마다 소버린(주권) 검색 엔진이 필요한데 전세계에서, 고유 검색 엔진을 가지고 있는 거의 국가가 한국이고 유일한 회사가 네이버라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그는 “네이버가 지난 25년간 기여하려고 했던 것은 인터넷에서의 다양성, 특히 검색에서의 다양성이었다”라고 설명했다. 이 의장은 네이버가 구글이라는 거대 빅테크에 대항해서 살아 남았던 비결이 지식인과 블로그, 카페 등과 같은 이용자 생산 콘텐츠(UGC)의 힘 때문이었다고 진단했다. 그는 “네이버가 전 세계에서 제일 먼저 UGC의 힘을 깨달았던 같다”고 말했다.

이 의장은 “지금 AI 시대에서 거대언어모델(LLM), 알고리즘을 누가 잘 만드냐는 것도 굉장히 의미 있는 싸움이지만 시간이 가면 갈수록 결국 데이터에서 차별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네트워킹 행사 후 특파원들과 만난 이 의장은 이사회 의장 복귀를 결심한 계기는 블록체인과 메타버스, 모바일 등 수많은 기술 변화 속에서도 가장 큰 임팩트를 주는 AI시대를 맞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챗GPT 이전부터 네이버는 대규모 AI 투자 및 실험을 진행해 왔다”면서 “내부적으로도 결과에 놀랐고 AI 경쟁에 대한 경각심을 느꼈다”고 털어놨다.

이 의장은 “사실 늘 부족했는데 그 상태에서 여기까지 왔다”고 말했다. 그는 골리앗과 맞선 다윗의 전략처럼 네이버는 선택과 집중으로 AI 시대에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오픈AI의 등과 직접 경쟁하기 보다 네이버가 잘할 수 있는 AI 영역에 집중하겠다는 설명이다.

그는 “한국형 AI를 위한 고유 데이터 기반 구축과 글로벌 상거래 플랫폼 간 데이터 시너지에 방점을 찍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의장은 미국의 포시마크나 스페인의 월라팝 투자가 이런 전략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이 의장은 “제가 AI를 다시 진두지휘하는 것이 아니라 CEO 등 경영진이 앞서 나가서 해야 될 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투자책임자(GIO)를 내려 놓고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는데 경영진을 지원하고 응원하는 역할에 집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네이버는 최수연 대표 2기 체제를 시작하면서 경쟁력 있는 스타트업들이 밀집한 실리콘밸리에서 스타트업 발굴과 투자 등을 위한 ‘네이버 벤처스’를 설립한다.

특파원들과 만난 최 대표는 “네이버 벤처스는 단순 재무 투자자(FI)가 아닌 전략적 목적을 가진 전략투자자(SI) 성격이다”고 설명했다. 그는 “실리콘밸리에 진출한 한국 창업자는 물론, 현지 창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투자 역시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 대표는 “네이버가 과거보다 큰 스케일과 의지를 갖고 움직이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네이버 벤처스의 투자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다.

Add a comment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Advertisement